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넝카이] 태국 동북부의 관문. 태국-라오스-중국을 잇는 핵심 교차점

‘넝카이’(หนองคาย)는 태국 동북부 최북단에 위치한 국경지역으로, 메콩강을 따라 라오스와 접하고 있으며, 가늘고 길쭉한 지형을 이루고 있다. 3,026㎢(서울 면적의 약 5배)의 면적에 51만 명(2023년 기준) 정도의 사람들이 살고 있어, 인구 과밀 도시인 방콕에 비하면 훨씬 한적한 곳이다.

넝카이 지도
넝카이는 라오스의 수도 비엔티안과 메콩강을 사이에 두고 마주 보고 있다.
그림 출처: https://th.wikipedia.org/wiki/จังหวัดหนองคาย 


1933년, 태국의 지방 행정 구역이 ‘짱왓’(จังหวัด, 도), ‘암퍼’(อำเภอ, 군) 등으로 개편될 당시, 넝카이는 ‘짱왓넝카이’(넝카이도)로 승격되었다. 그후 2011년에는 8개의 군이 넝카이도에서 분리되면서 지금의 븡깐(บึงกาฬ)도가 신설되었다.

븡깐 지도
븡깐은 원래 넝카이의 일부였으나 2011년 넝카이에서 분리됐다.
그림 출처: https://th.wikipedia.org/wiki/จังหวัดบึงกาฬ 


태국-라오스 제1우정의 다리

태국-라오스 제1 우정의 다리는 메콩강을 가로질러 태국 넝카이와 라오스 비엔티안을 잇는다. 국경인 메콩강을 가로지르는 다리이기에 교량 양 끝에 설치된 양국의 출입국 관리소를 통과해야 다리를 건널 수 있다. 호주 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아 1991년 10월에 착공하여 1994년 4월에 완공되었다. 태국과 라오스 양국 간의 가장 중요한 교역로일 뿐만 아니라 아세안 지역의 교통망 연결에 있어 핵심적인 고리 역할을 담당해 왔다.

태국-라오스 제1 우정의 다리
태국-라오스 제1 우정의 다리는 태국과 라오스를 잇는 최초의 메콩강 횡단 교량이다. 
다리의 길이는 1,170미터로 
중앙에 열차 선로가 놓여 있어 
차량뿐만 아니라 열차를 이용해서도 다리를 건널 수가 있다. 
그림 출처: https://www.dailynews.co.th/news/52630/

태국-라오스 제1 우정의 다리 개통 30주년 기념식 사진
2024년 4월, 태국 넝카이에서 열린 태국-라오스 제1 우정의 다리 개통 30주년 기념식.
그림 출처: https://www.dailynews.co.th/news/52630/


넝카이-비엔티안 고속철도 교량 건설 사업

2025년 현재 태국-라오스-중국을 잇는 고속철도 사업의 일환으로 태국의 넝카이와 라오스의 비엔티안을 연결하는 새로운 고속철도 교량 건설 사업이 진행 중이다. 새 교량은 태국과 라오스가 건설 비용을 각각 반반씩 부담하는 조건으로 기존 태국-라오스 제1 우정의 다리 옆에 약 30미터 정도 간격을 두고 나란히 건설될 예정이다. 이 교량이 완성되면 2030년 개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 중인 방콕-넝카이 고속철도와 2021년 12월 이미 개통한 라오스-중국 고속철도를 연결하게 된다.

넝카이-비엔티안 고속철도 교량 예상도

넝카이-비엔티안 고속철도 교량 예상도
넝카이-비엔티안 고속철도 교량 예상도. 
태국-라오스 제1 우정의 다리 옆에 나란히 건설될 예정이다. 
새 교량은 고속철도와 일반철도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총 4개 선로를 갖춘 철도교로 설계되었다.
그림 출처: https://www.dailynews.co.th/news/2912286/


방콕-넝카이 고속철도 건설 사업

방콕-넝카이 고속철도 건설은 중국의 전략 사업인 일대일로(一帶一路)의 일환으로, 아세안과 중국을 연결하는 핵심 인프라 프로젝트이다. 태국은 중국, 라오스 3국 간 고속철도망 연결 사업에 관한 협정을 2019년에 체결한 바 있다. 중국은 윈난성 쿤밍에서 출발해 라오스, 태국을 지나 말레이시아, 싱가포르까지 이어지는 종단 노선을 추진 중인데 태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 태국이 대(對)아세안 일대일로 사업의 핵심 축으로 여겨지는 이유다.

동남아시아 고속철도 종단 노선
중국이 추진 중인 대(對)아세안 고속철도 종단 노선
그림 출처: https://www.mk.co.kr/news/world/7000413


방콕-넝카이 고속철도 사업은 중국의 건설 기술과 고속철도 운영 시스템을 기반으로 2단계 구간으로 나뉘어 현재 공사가 진행 중에 있다.

1단계 구간: 방콕-나컨랏차씨마

방콕역에서 출발해 던므엉역, 아유타야역, 싸라부리역, 빡청역을 거쳐 나컨랏차씨마역으로 이어지는 약250km 구간 6개 역으로 구성된다. 현재 약 40% 정도 공사가 진행됐다. 애초 1단계 구간은 2026년 완공이 목표였으나, 자금 조달 문제와 코로나19 사태 등으로 인해 공사가 지연됐다.

2단계 구간: 나컨랏차씨마-넝카이

나컨랏차씨마역에서 출발해 부어야이역, 반파이역, 컨깬역, 우던타니역을 거쳐 넝카이역으로 이어지는 약360km 구간 5개 역으로 구성된다. 2030년 개통을 목표로 사업이 진행 중이다. 고속철도 전 구간이 개통되면 방콕에서 넝카이까지 단 3시간 30분 만에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방콕-넝카이 고속철도 노선과 정차역
방콕-넝카이 고속철도 노선. 
주황색이 1단계 구간, 청색은 2단계 구간의 정차역을 나타낸다. 
빨간색은 라오스 비엔티안역.
그림 출처: https://www.highspeedrail-thai-china.com/project/ 


전 구간이 개통되면 방콕에서 넝카이까지 약 3시간 30분 만에 도달할 수 있으며, 비엔티안-쿤밍 노선과 연결되어 중국 쿤밍까지 직행하는 국제 고속철도 노선이 완성된다. 관광객이 증가하고 고속철도역을 중심으로 한 관광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태국, 라오스, 중국 간의 물류 비용이 절감되어 무역이 보다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가 된다. 실제로 비엔티안-쿤밍 고속철도 개통 후에 화물 운송량이 급증한 바 있다.

비엔티안-쿤밍 고속철도 노선
라오스 비엔티안과 중국 쿤밍을 연결하는 고속철도. 
2021년 12월 3일 개통했다. 
열차는 평균 시속 160km 수준으로 
비엔티안에서 쿤밍까지 약 10시간 만에 이동할 수 있다.
그림 출처: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china/2021/12/03/U6YSAYNBLJAKFGAWO3GWBEX2UU/ 


지금까지 태국 동북부의 핵심 관문인 넝카이와 이 지역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대규모 인프라 개발 사업에 대해 살펴보았다. 향후 넝카이는 단순한 국경 도시를 넘어, 아세안과 중국을 연결하는 교통·물류의 중심지로 도약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방콕] 에메랄드 불상의 신비로운 여정

방콕 에메랄드 사원의 법당에는 옥(玉)을 깎아 만든, 엷은 녹색의 작은 불상이 안치되어 있다. 가부좌를 틀고 명상에 잠긴 모습이다. 정식 명칭은 ‘프라-풋타-마하마니-랏따나-빠띠마껀’(พระพุทธมหามณีรัตนปฏิมากร), 보통은 ‘프라-깨우-머라꼿’(พระแก้วมรกต), 즉 우리말로 에메랄드 불상이라 불린다. 에메랄드 불상 https://www.facebook.com/p/พระแก้วมรกต-วัดพระศรีรัตนศาสดาราม-100057417700307/?locale=th_TH&_rdr  에메랄드 불상의 기원과 전설 전설에 따르면 에메랄드 불상은 기원전 인도에서 만들어졌다. 한때 실론(스리랑카)으로 보내졌다가 다시 버마(미얀마)로 향하던 중 배가 풍랑을 만나 불상이 사라지고 만다. 사라진 불상은 우연히 크메르(캄보디아)에서 발견되고 아유타야(태국)로 보내진 후 또다시 불상의 행방이 묘연해진다. 그 후 1434년에 치앙라이(태국)에서 발견되는데 그 전설적인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1434년 어느 날, ‘치앙라이’(เชียงราย)의 ‘왓-빠야’(วัดป่าญะ)사원에 벼락이 떨어진다. 벼락을 맞은 불탑이 깨지고 그 깨진 불탑 안에서 석회에 덮인 불상이 발견된다. 이를 영험하게 여긴 주지스님은 그 불상을 다른 불상과 함께 법당에 고이 모시게 된다. 그 후 몇 달이 지난 어느 날, 불상의 코 부분에 덮인 석회가 떨어져 나가면서 비로서 에메랄드 불상이 세상에 본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 이후 ’왓-빠야’ 사원은 사람들에게 ‘왓-프라-깨우’(วัดพระแก้ว), 즉 에메랄드 불상을 모신 사원으로 널리 알려지게 된다. 치앙라이 ‘왓프라깨우’ 사원에 있는 에메랄드 불상. 에메랄드 불상이 처음 발견된 장소임을 기념하기 위해 제작됐다. https://www.chiangraifocus.net/2018/article/27  에메랄드 불상의 이동 경로 1) ‘치앙라이’에서 ‘람빵’으로 에메랄드 불상이 발견된 당시의 ‘치앙라이’는...

[깐짜나부리] 태국에서 가장 긴 목조 다리는 어디에 있을까?

      '깐짜나부리'(กาญจนบุรี)도(道)의 북쪽에 위치한 '쌍카부리'(สังขละบุรี)군(郡)에는 특별한 의미를 가진 다리가 하나 있다. 공식 명칭은 '웃따나누썬'(อุตตมานุสรณ์) 다리인데, 보통은 '먼'(มอญ) 다리라고 불린다. '먼'은 몬족(Mon 族)을 의미하니 몬족 다리인 셈이다.       다리가 위치한 곳은 태국과 미얀마의 국경 지역에 근접해 있고 산악 지대에 속하기 때문에 접근성이 다소 떨어진다. 하지만 한 번쯤 방문할 가치는 충분히 있다. 대중 교통을 이용한다면 '깐짜나부리' 버스터미널에서 승합차로 이동하는 것이 수월한 편이다.      몬족 다리는 태국에서 가장 긴 목조 다리라고 한다. 다리는 '썽까리아'(ซองกาเลีย)강을 가로지르며 몬족이 모여 사는 마을 공동체를 잇고 있다. 처음에 세워진 다리는 지금처럼 곧지 않고 구불구불한 형태였는데, 몇 차례에 걸친 보수 공사 끝에 지금은 곧은 모양의 다리로 변모했다고 한다.  <'깐짜나부리'도의 위치> https://th.wikipedia.org/wiki/ จังหวัดกาญจนบุรี <'깐짜나부리'도의 북쪽에 위치한 몬족 다리> https://palanla.com/th/domesticLocation/detail/ 1299 <몬족 다리의 모습> https://ngthai.com/featured/38966/songkhalia-river/ <몬족 다리 위에서 (촬영: 2023년 5월) 몬족 다리에 얽힌 이야기 1) 몬족      몬족은 원래 미얀마 남부 지역에 기반을 두고 살아온 동남아시아의 토착민으로 한때는 고대 동나아시아의 주도 세력 중 하나였다. 하지만 버마족과 타이족에게 세력 다툼에서 밀리면서  점차 영향력을 상실해 갔다. 근대에 들어서는 오랫동안 미얀마 정부를 상대로 독립 투쟁을 ...

[방콕] 전승 기념탑은 왜 설립되었을까?

전승 기념탑      전승 기념탑( อนุสาวรีย์ชัยสมรภูมิ)은 1940년에 일어난 태국-프랑스 전쟁( กรณีพิพาทระหว่างไทยกับฝรั่งเศส)에서 태국이 승리한 것을 기념하고 전쟁에서 목숨을 잃은 군인과 경찰, 그리고 민간인들의 희생을 기리기 위해 1942년 6월 24일, 준공식을 거행하고 세상에 선보였다. <과거 전승 기념탑의 모습 (1946년에 촬영)> 사진 출처:  https://www.silpa-mag.com/history/article_73710           탑의 모습은 소총의 총구에 부착하는 대검( 帶劍)을 형상화했다. 대검 5자루를 칼날은 바깥으로 향하고, 칼끝은 하늘을 향하도록 한데 붙여놓은 모습이다. 탑을 바치는 중간 기단 위에는 모두 5개의 동상이 서 있는데, 각각 육군, 공군, 해군, 경찰, 그리고 민간인을 나타낸다. <현재 전승 기념탑의 모습> 사진 출처: Bangkok Metropolitan Administration <전승 기념탑 중간 기단 위에 서 있는 동상들(1)> 사진 출처:   Bangkok Metropolitan Administration <전승 기념탑 중간 기단 위에 서 있는 동상들(2)>           탑을 받치는 가장 아랫부분인 기단부의 외벽에는 태국-프랑스 전쟁에서 전사한 군인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고, 기단부의 내부 공간에는 유골이 안장되어 있다. 그후 한국 전쟁 및 기타 전투에서 용감하게 싸우다 희생된 군인들의 유골과 이름을 추가로 안치하고 새겨 넣어 그 넋을 기리고 있다. <기단부 외벽에 새겨진 전사자들의 이름> 사진 출처: Bangkok Metropolitan Administration 역사적 배경 1) 프랑스와 영국의 식민지 쟁탈과 태국의 영토 할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