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메콩강: 인도차이나의 생명줄에서 국제 협력과 패권 경쟁의 중심으로

        메콩(Mekong)강은 티베트 고원에서 발원하여 중국, 미얀마,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그리고 베트남을 거쳐 남중국해로 흘러간다. 길이가 무려 4천 km 이상으로 인도차이나 반도의 젖줄로 불린다. 메콩강은 산자락을 따라 구불구불 흐르는 곳이 많아, 크고 작은 암초가 강 곳곳에 자리잡고 있다. 강의 유속과 수위는 계절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데, 우기와 건기의 차이가 현저하다.

메콩강과 인도차이나
메콩강은 생태계의 보고이자 수많은 사람들의 삶의 터전이 되어 생명의 젖줄로 불린다. 
농업, 어업, 운송, 수력 발전 등 다양한 방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림 출처: https://www.khan.co.kr/article/201801092147015 


메콩강, 태국과 라오스의 자연 국경

        메콩강은 태국어로 매남콩(แม่น้ำโขง)이라 불리는데, 매남은 강을 뜻하고, 콩은 강의 이름이다. 태국의 북부 지역 일대와 동북부 지역은 메콩강을 자연 경계로 삼아 라오스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태국에서 메콩강의 시발점은 태국 북부 치앙라이(เชียงราย)道 치앙쌘(เชียงแสน)郡에 속해 있는 쏩루억(สบรวก)마을이다. 바로 골든 트라이앵글(Golden Triangle)이란 이름으로 사람들에게 더 잘 알려진 곳으로 강줄기를 경계로 미얀마, 라오스, 태국이 각각 국경을 맞대고 있다.

골든트라이앵글
골든 트라이앵글, 과거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마약 생산지로 악명이 높았다. 
골든 트라이앵글이라는 이름도 이 지역에서 마약 거래 시에 
화폐가 아닌 금괴가 거래 대금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그림 출처: http://upma21.com/main/?p=5147

루악강과 메콩강이 합류하는 지점
그림 출처: 구글 지도 캡처

강을 경계로 미얀마, 라오스, 태국이 국경을 맞대고 있다
미얀마에서 흘러 들어오는 루악강이 메콩강과 합류하는 지점.
강을 경계로 미얀마, 라오스, 태국이 국경을 맞대고 있다.
사진 출처: https://pantip.com/topic/33095265

        메콩강은 이렇게 태국의 쏩루억 마을을 지나 라오스와 경계를 이르며 동쪽으로 흘러가다 치앙라이道 위양깬(เวียงแก่น)郡의 깽파다이(แก่งผาได) 여울목을 지나며 라오스 영내로 진입한다. 쏩루억 마을에서 깽파다이 여울목까지, 태국과 라오스를 경계 짓는 메콩강의 첫 번째 구간은 약 180km에 이른다.

깽파다이, 메콩강이 태국 치앙라이를 지나는 마지막 지점
깽파다이, 메콩강이 태국 치앙라이를 지나는 마지막 지점. 
강은 이곳에서부터 라오스 영내로 진입한다.
그림 출처: 구글 지도 캡처


        라오스 영내를 흐르던 메콩강은 태국 러이(เลย)道 치양칸(เชียงคาน)郡 타디미(ท่าดีหมี)마을에서부터 다시 태국과 라오스를 경계 지으며 흐르기 시작해, 우본랏차타니(อุบลราชธานี)道 콩찌얌(โขงเจียม)郡 원븍(เวินบึก)마을을 끝으로 태국을 떠나 다시 라오스 영내로 들어간다. 타디미에서 원븍까지, 태국과 라오스를 경계 짓는 메콩강의 두 번째 구간은 약 800km에 다다른다.

메콩강은 태국 러이(เลย)道 치양칸(เชียงคาน)郡 타디미(ท่าดีหมี)마을에서부터 다시 태국과 라오스를 경계 지으며 흐르기 시작한다
그림 출처: 구글 지도 캡처

원븍, 메콩강이 태국을 지나는 마지막 지점
원븍, 메콩강이 태국을 지나는 마지막 지점. 
강은 이곳에서부터 라오스 영내로 들어가 캄보디와와 베트남을 거쳐 남중국해로 흘러나간다.
그림 출처: 구글 지도 캡처


메콩강 개발과 국제적 과제

        메콩강은 오랫동안 사람의 손길이 미치지 못했다. 메콩강 상류는 산간 고원지대이고 하류는 산업화가 비교적 더딘 지역이었기에 메콩강 유역을 개발할 경제적 여력이 그렇게 높지가 않았다. 이런 메콩강에 개발의 바람이 들어선 것은 1990년대 초, 중국이 란창(Lancang)강 개발 프로젝트를 가동하면서부터였다. 중국 영내를 흐르는 메콩강 상류를 중국은 란창강이라고 부르는데, 이곳에 여러 곳의 댐과 수력발전소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강 상류에 들어선 댐으로 인해 하류는 수량이 줄어, 강우량이 적은 해에는 하류 유역 국가들이 극심한 가뭄과 식수난을 겪어야 했다.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도 매우 커서, 강 유역에 살며 생계를 이어가는 많은 사람들에게 직접적인 생계의 위협이 되기도 했다. 중국은 상류 댐에 저수된 물을 가뭄 때 적절히 방류하면 오히려 하류의 가뭄 해소에 도움이 된다는 논리를 펴면서, 하류의 가뭄과 생태계의 변화는 기후변화에 따른 결과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많은 수의 환경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중국이 강 상류에 건설한 댐들이 가뭄과 생태계 변화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진단한다. 2020년 기준, 중국은 메콩강 상류에 이미 11개의 댐을 건설했고, 앞으로 8개의 댐이 더 지어질 계획에 있다. 라오스도 댐 건설에 적극적이다. 산업 인프라가 부족한 라오스는 중국 자본으로 수력발전 댐을 건설해 거기서 생산된 전기를 주변국에 수출하는 국가 정책을 펴고 있다. 2019년부터 운영을 시작한 싸야부리(Xayaburi)댐을 시작으로, 2020년에는 돈사홍(Donsahong)댐이 순차적으로 운영에 들어갔다. 싸야부리 댐에서 생산된 대부분의 전력은 태국으로 수출된다. 전력 수출은 라오스의 주요 외화 수입원이기에 앞으로 더 많은 수의 댐이 추가로 건설될 예정에 있다.

메콩강 수력발전 프로젝트 (2020년 현황)
메콩강 수력발전 프로젝트 (2020년 현황)
그림 출처: https://ipdefenseforum.com/ko/2021/09/패권-갈증/


메콩강 관리 협력의 중심, 메콩강 위원회 (MRC)

        1995년,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 4개국은 메콩강 하류의 수자원을 관리하고 개발하기 위해 메콩 협약(Mekong Agreement)을 체결하고, 메콩강 위원회(Mekong River Commission)를 설립했다. 메콩강 위원회는 메콩강 유역의 수위, 유량, 수질 등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관련 정보를 회원국들과 공유하며 좀 더 효과적인 역내 협력을 모색 중이다. 중국과 미얀마와는 메콩강 위원회의 정식 회원국은 아니지만, 중요한 대화 상대국으로서, 수자원 관리 및 개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전략적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의 영향력 확대, 란창-메콩 협력체제 (LMC)

        2016년, 중국은 메콩강 개발의 국제 협력을 도모하기 위해, 란창-메콩 협력체제(Lancang-Mekong Cooperation)를 출범시켰다. 기존의 메콩강 위원회는 중국과 미얀마가 회원국으로 참여하지 않아 제한적 형태의 협력체제였지만, 란창-메콩 협력체제는 메콩강 유역의 모든 국가가 참여하고 있다. 중국은 란창-메콩 협력체제를 통해 개발 사업에 들어가는 대규모의 투자와 기술협력을 제공하며 사실상 메콩강 개발의 주도권을 가져가고 있다.

제9차 란창-메콩 협력체제 외교장관회의 (2024년 8월 16일, 태국 치앙마이)
제9차 란창-메콩 협력체제 외교장관회의 
(2024년 8월 16일, 태국 치앙마이)
사진 출처: https://www.mfa.go.th/en/content/9th-mlc-fmm-2?cate=5d5bcb4e15e39c306000683e 


미국의 견제와 협력, 메콩-미국 파트너십 (MUSP)

        2020년 9월, 미국은 메콩강 유역의 국가들과 메콩-미국 파트너십(Mekong-U.S Partnership)을 체결했다. 이는 지난 2008년 체결한 메콩 하류 이니셔티브(LMI: Lower Mekong Initiative)를 확대 개편한 것이다. 미국이 메콩 유역 국가들과 협력을 확대하면서 메콩강 유역은 미중(美中)이 패권을 놓고 각축을 벌이는 또 하나의 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메콩-미국 파트너십 외교장관회의 (2021년 8월, 온라인)
메콩-미국 파트너십 외교장관회의 
(2021년 8월, 온라인)
사진 출처:https://www.vietnam.vn/ko/hop-tac-mekong-my-se-ra-sao-khi-tong-thong-dac-cu-donald-trump-tro-lai-nha-trang/ 

메콩-미국 파트너십 정책 대화 (2024년 3월, 베트남 호치민)
메콩-미국 파트너십 정책 대화 
(2024년 3월, 베트남 호치민)
사진 출처: https://vn.usembassy.gov/2024-mekong-u-s-partnership-policy-dialogue/ 


한-메콩 외교장관회의

        2011년, 한국은 메콩강 유역 5개국(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미얀마, 베트남)과 한-메콩 외교장관회의를 출범시겼다. 한-메콩 외교장관회의는 한국이 아세안 지역과 관계를 강화하고 역내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는 중요한 외교 협의체이다. 아세안 지역은 풍부한 잠재력과 성장 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며, 한국은 공적개발원조와 한-메콩 협력기금(Mekong-Korea Cooperation Fund) 등을 통해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이 회의를 통해 인프라 구축, 인재 개발, 지속 가능한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구체적인 협력 사업들이 추진되고 있으며 한국은 이 지역 국가들과 경제적, 외교적 관계 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제13차 한-메콩 외교장관회의 (2025년 7월 11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제13차 한-메콩 외교장관회의 
(2025년 7월 11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사진 출처: https://www.mofa.go.kr/viewer/skin/doc.html?fn=20250711052307167.jpeg&rs=/viewer/result/202507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방콕] 에메랄드 불상의 신비로운 여정

방콕 에메랄드 사원의 법당에는 옥(玉)을 깎아 만든, 엷은 녹색의 작은 불상이 안치되어 있다. 가부좌를 틀고 명상에 잠긴 모습이다. 정식 명칭은 ‘프라-풋타-마하마니-랏따나-빠띠마껀’(พระพุทธมหามณีรัตนปฏิมากร), 보통은 ‘프라-깨우-머라꼿’(พระแก้วมรกต), 즉 우리말로 에메랄드 불상이라 불린다. 에메랄드 불상 https://www.facebook.com/p/พระแก้วมรกต-วัดพระศรีรัตนศาสดาราม-100057417700307/?locale=th_TH&_rdr  에메랄드 불상의 기원과 전설 전설에 따르면 에메랄드 불상은 기원전 인도에서 만들어졌다. 한때 실론(스리랑카)으로 보내졌다가 다시 버마(미얀마)로 향하던 중 배가 풍랑을 만나 불상이 사라지고 만다. 사라진 불상은 우연히 크메르(캄보디아)에서 발견되고 아유타야(태국)로 보내진 후 또다시 불상의 행방이 묘연해진다. 그 후 1434년에 치앙라이(태국)에서 발견되는데 그 전설적인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1434년 어느 날, ‘치앙라이’(เชียงราย)의 ‘왓-빠야’(วัดป่าญะ)사원에 벼락이 떨어진다. 벼락을 맞은 불탑이 깨지고 그 깨진 불탑 안에서 석회에 덮인 불상이 발견된다. 이를 영험하게 여긴 주지스님은 그 불상을 다른 불상과 함께 법당에 고이 모시게 된다. 그 후 몇 달이 지난 어느 날, 불상의 코 부분에 덮인 석회가 떨어져 나가면서 비로서 에메랄드 불상이 세상에 본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 이후 ’왓-빠야’ 사원은 사람들에게 ‘왓-프라-깨우’(วัดพระแก้ว), 즉 에메랄드 불상을 모신 사원으로 널리 알려지게 된다. 치앙라이 ‘왓프라깨우’ 사원에 있는 에메랄드 불상. 에메랄드 불상이 처음 발견된 장소임을 기념하기 위해 제작됐다. https://www.chiangraifocus.net/2018/article/27  에메랄드 불상의 이동 경로 1) ‘치앙라이’에서 ‘람빵’으로 에메랄드 불상이 발견된 당시의 ‘치앙라이’는...

[깐짜나부리] 태국에서 가장 긴 목조 다리는 어디에 있을까?

      '깐짜나부리'(กาญจนบุรี)도(道)의 북쪽에 위치한 '쌍카부리'(สังขละบุรี)군(郡)에는 특별한 의미를 가진 다리가 하나 있다. 공식 명칭은 '웃따나누썬'(อุตตมานุสรณ์) 다리인데, 보통은 '먼'(มอญ) 다리라고 불린다. '먼'은 몬족(Mon 族)을 의미하니 몬족 다리인 셈이다.       다리가 위치한 곳은 태국과 미얀마의 국경 지역에 근접해 있고 산악 지대에 속하기 때문에 접근성이 다소 떨어진다. 하지만 한 번쯤 방문할 가치는 충분히 있다. 대중 교통을 이용한다면 '깐짜나부리' 버스터미널에서 승합차로 이동하는 것이 수월한 편이다.      몬족 다리는 태국에서 가장 긴 목조 다리라고 한다. 다리는 '썽까리아'(ซองกาเลีย)강을 가로지르며 몬족이 모여 사는 마을 공동체를 잇고 있다. 처음에 세워진 다리는 지금처럼 곧지 않고 구불구불한 형태였는데, 몇 차례에 걸친 보수 공사 끝에 지금은 곧은 모양의 다리로 변모했다고 한다.  <'깐짜나부리'도의 위치> https://th.wikipedia.org/wiki/ จังหวัดกาญจนบุรี <'깐짜나부리'도의 북쪽에 위치한 몬족 다리> https://palanla.com/th/domesticLocation/detail/ 1299 <몬족 다리의 모습> https://ngthai.com/featured/38966/songkhalia-river/ <몬족 다리 위에서 (촬영: 2023년 5월) 몬족 다리에 얽힌 이야기 1) 몬족      몬족은 원래 미얀마 남부 지역에 기반을 두고 살아온 동남아시아의 토착민으로 한때는 고대 동나아시아의 주도 세력 중 하나였다. 하지만 버마족과 타이족에게 세력 다툼에서 밀리면서  점차 영향력을 상실해 갔다. 근대에 들어서는 오랫동안 미얀마 정부를 상대로 독립 투쟁을 ...

[방콕] 전승 기념탑은 왜 설립되었을까?

전승 기념탑      전승 기념탑( อนุสาวรีย์ชัยสมรภูมิ)은 1940년에 일어난 태국-프랑스 전쟁( กรณีพิพาทระหว่างไทยกับฝรั่งเศส)에서 태국이 승리한 것을 기념하고 전쟁에서 목숨을 잃은 군인과 경찰, 그리고 민간인들의 희생을 기리기 위해 1942년 6월 24일, 준공식을 거행하고 세상에 선보였다. <과거 전승 기념탑의 모습 (1946년에 촬영)> 사진 출처:  https://www.silpa-mag.com/history/article_73710           탑의 모습은 소총의 총구에 부착하는 대검( 帶劍)을 형상화했다. 대검 5자루를 칼날은 바깥으로 향하고, 칼끝은 하늘을 향하도록 한데 붙여놓은 모습이다. 탑을 바치는 중간 기단 위에는 모두 5개의 동상이 서 있는데, 각각 육군, 공군, 해군, 경찰, 그리고 민간인을 나타낸다. <현재 전승 기념탑의 모습> 사진 출처: Bangkok Metropolitan Administration <전승 기념탑 중간 기단 위에 서 있는 동상들(1)> 사진 출처:   Bangkok Metropolitan Administration <전승 기념탑 중간 기단 위에 서 있는 동상들(2)>           탑을 받치는 가장 아랫부분인 기단부의 외벽에는 태국-프랑스 전쟁에서 전사한 군인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고, 기단부의 내부 공간에는 유골이 안장되어 있다. 그후 한국 전쟁 및 기타 전투에서 용감하게 싸우다 희생된 군인들의 유골과 이름을 추가로 안치하고 새겨 넣어 그 넋을 기리고 있다. <기단부 외벽에 새겨진 전사자들의 이름> 사진 출처: Bangkok Metropolitan Administration 역사적 배경 1) 프랑스와 영국의 식민지 쟁탈과 태국의 영토 할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