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1월, 2025의 게시물 표시

[방콕] 황금산 사원

황금산 사원 (왓싸껫)     방콕 카오싼 로드 근처에 있는 황금산 사원은 사실 아유타야 시대에 세워진 유서 깊은 사찰이다. 세월이 흘러 1782년, 라마1세(재위1782-1809)는 이곳에서 즉위식을 갖고 랏따나꼬씬 왕조의 초대왕이 됐다. 라마1세는 즉위 후에 사원 주변에 운하를 파고 대대적으로 사원을 새롭게 단장했다. 그리고 사원 이름을 '왓싸껫'(วัดสระเกศ)으로 바꾸었다. '왓'은 '사원'을 뜻하고 '싸껫'은 '머리를 정결히 한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는 전에 라마1세가 즉위식의 일환으로 머리에 성수를 붓는 의식을 이곳에서 행했기 때문이다. 황금산     이 사원의 상징이자 명물인 '푸카오텅'(ภูเขาทอง, 황금산)은 라마3세(재위1824-1851) 때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해 라마5세(재위1868-1910) 때 완공됐다. 사실 라마3세는 과거 아유타야 시대에 세워졌던 불탑의 원형을 복원해 거대한 탑을 세우고자 했다. 하지만 탑을 받치는 지반이 약해 자꾸 무너져 내렸고, 결국 공사를 중단해야 했다. 오랫동안 방치된 공사는 이후 라마4세(재위1851-1868) 때에 이르러 다시 재계가 됐다. 라마3세 때와는 달리 인공적으로 흙을 쌓아 산을 만들고 그 위에 작은 탑을 세우는 방법으로 공사가 진행됐다. 외관상 오늘날의 모습을 이때 전반적으로 갖추게 된 것이다. 황금산은 라마5세 때에 이르러서야 마무리 공사까지 마치고 비로서 완성을 보았다. 정상에 세운 불탑 안에는 인도의 카필라바스투(Kapilavastu) 지역에서 발굴된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봉안되어 있다.  <1900년대 초에 그려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황금산의 모습>   그림 출처 : https://www.silpa-mag.com/history/article_5905 <1900년대 초에 찍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황금산의 모습> 사진 출처 : https://www.silpa-mag.com/his...

메콩강: 인도차이나의 생명줄에서 국제 협력과 패권 경쟁의 중심으로

          메콩(Mekong)강은 티베트 고원에서 발원하여 중국, 미얀마,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그리고 베트남을 거쳐 남중국해로 흘러간다. 길이가 무려 4천 km 이상으로 인도차이나 반도의 젖줄로 불린다. 메콩강은 산자락을 따라 구불구불 흐르는 곳이 많아, 크고 작은 암초가 강 곳곳에 자리잡고 있다. 강의 유속과 수위는 계절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데, 우기와 건기의 차이가 현저하다. 메콩강은 생태계의 보고이자 수많은 사람들의 삶의 터전이 되어 생명의 젖줄로 불린다.  농업, 어업, 운송, 수력 발전 등 다양한 방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림 출처: https://www.khan.co.kr/article/201801092147015  메콩강, 태국과 라오스의 자연 국경           메콩강은 태국어로 매남콩(แม่น้ำโขง)이라 불리는데, 매남은 강을 뜻하고, 콩은 강의 이름이다. 태국의 북부 지역 일대와 동북부 지역은 메콩강을 자연 경계로 삼아 라오스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태국에서 메콩강의 시발점은 태국 북부 치앙라이(เชียงราย)道 치앙쌘(เชียงแสน)郡에 속해 있는 쏩루억(สบรวก)마을이다. 바로 골든 트라이앵글(Golden Triangle)이란 이름으로 사람들에게 더 잘 알려진 곳으로 강줄기를 경계로 미얀마, 라오스, 태국이 각각 국경을 맞대고 있다. 골든 트라이앵글, 과거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마약 생산지로 악명이 높았다.  골든 트라이앵글이라는 이름도 이 지역에서 마약 거래 시에  화폐가 아닌 금괴가 거래 대금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그림 출처: http://upma21.com/main/?p=5147 그림 출처: 구글 지도 캡처 미얀마에서 흘러 들어오는 루악강이 메콩강과 합류하는 지점. 강을 경계로 미얀마, 라오스, 태국이 국경을 맞대고 있다. 사진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