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11월, 2024의 게시물 표시

태국 국기, '통뜨라이롱'

태국의 국기      국기는 해당 국가의 역사적 정통성과 민족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것이다. 태국의 국기는 태국어로 '통찻타이'(ธงชาคิไทย) 또는 '통뜨라이롱'(ธงไตรรงค์)이라 불린다. 통찻타이는 태국 국기라는 뜻이고 통뜨라이롱은 우리말로 삼색기( 三色旗)라 할 수 있다. 삼색기라는 별칭에서 알 수 있듯이 태국 국기는 세가지 색, 즉 가운데 파랑 띠를 중심으로 하양 띠와 빨강 띠가 위아래를 감싸며 상하 대칭을 이루고 있다. 파랑은 국왕을, 하양은 종교의 순수성을, 그리고 빨강은 국민의 피를 상징한다. 국왕, 종교, 국민이 태국의 정체성을 이루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겠다.  <태국 국기> <태국 국기의 비율> 태국 국기의 변천 과정 1. 붉은 깃발 (사용: 1680년-1782년)      태국 역사상 국가를 상징하는 것으로 깃발이 쓰인 첫 번째 사례는 프랑스의 사료에 등장하는 기록을 통해서 알 수 있다. 당시 태국은 아유타야 왕조 나라이 대왕(King Narai the Great, สมเด็จพระนารายมหาราช, 재위: 1656-1688)의 통치 시기였다. 기록에 따르면 1680년 9월 3일, 프랑스는 짜오프라야강( 江) 어귀까지 군함을 보내 아유타야와 통상 외교 관계를 맺고자 했다. 프랑스의 군함과 아유타야의 방어 진지에서는 서로 예포( 禮砲)를 쏘며 상대에 대한 경의와 답례를 표하기로 했는데 관례에 따라 예포를 쏘려면 국기를 게양해야 했다. 당시 아유타야는 아직 국기가 존재하지 않아, 홀랜드(Holland) 국기를 대신 게양했는데 프랑스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자, 임시방편으로 붉은 깃발을 게양했다. 프랑스는 이에 예포를 발사하고 국기 게양 사건은 일단락됐다. 이 사건을 계기로 붉은 깃발은 태국을 상징하는 깃발로 여겨지게 되었다.     2. 붉은 깃발 중앙에 차크라 문양 배치 (사용: 1782년-1817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