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은 불교의 나라다. 불교가 국교로 지정된 것은 아니지만, 태국 국왕은 불교도여야 함을 헌법은 명시하고 있다. 제7조 국왕은 불교도이며 종교의 수호자이다. 사진 출처: pixabay 상좌부 불교 전통적으로 대승 불교의 맥을 이어온 한국 불교와는 달리, 태국 불교는 우리가 흔히 소승 불교라고 부르는 상좌부 ( 上座部 ) 불교다. 작은 수레를 의미하는 소승 ( 小乘 )이라는 명칭은 큰 수레라는 뜻의 대승 ( 大乘 )과 대비적으로 쓰였는데, 소승을 낮추고 대승을 높이는 우열적 개념으로 쓰였다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때문에 소승 불교라는 말 대신, 상좌부 불교라 칭하는 것이 좀 더 타당한 것 같다. 상좌부라는 말은 팔리어 '테라와다' (Theravada)의 한역 ( 漢譯 )이다. 그래서 상좌부 불교를 테라와다 불교라 칭하기도 한다. '테라' (Thera)는 지혜와 덕이 높고 법랍 ( 法臘 )이 높은 승려, 즉 상좌 ( 上座 )를 의미하고, '와다' (vada)는 말씀을 뜻한다. 풀이하면 '상좌의 말씀'이 된다. 이 말의 유래는 불교의 제1차 결집과 관련이 있는데, 상좌는 바로 결집에 참여했던 석가모니의 제자들을 지칭하고, 말씀은 이들에 의해 최초로 정리된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의미한다. 제1차 결집 결집 ( 結集 )이란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정리하고 보존하기 위하여 개최한 불교 집회를 말한다. 석가모니의 입멸 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몇 차례에 걸쳐 결집이 이루어져 왔다. 상좌부 불교의 태동이라 할 수 있는 제1차 결집은 기원전 5세기 무렵, 석가모니의 입멸 후, '마하카샤파' (Mah a kassapa )의 주재로 당시 '마가다' (Magadha)의 수도였던 왕사성 ( 王舍城 )에서 이루어졌다. 석가모니의 제자 500명이 함께 모여 암송하는 방법으로 그의 가르침을 최초로 확인하고 정리한 역사적인 순간이었다. 아난다 ( A nanda )와 우팔리 (Up a li )의 ...
태국의 풍부한 문화 유산과 역사적 배경을 조금 들여다보면 태국 여행의 즐거움이 배가 됩니다. 태국! 저와 함께 탐방해 보시겠어요?